제목 : [박정식의 국내 주식시황] Fed 금리인하 및 세제 개편안 재검토 기대감 등에 증시 반등
작성자 : 박정식작성일 : 2025-08-05조회수 : 1,043
[2025년 8월 5일 장전 국내시황]
전 거래일 고용 쇼크 등 경제지표 부진으로 경기침체 우려가 불거지며 뉴욕증시가 급락했지만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하 기대감이 다시 크게 부각되며, 반발 매수세가 유입됬고 하루만에 급반등하는 모습을 보였다.
국내증시도 이러한 기조에 발 맞추어 전 거래일에 이어 반등을 이어나갈 것으로 보인다. 전일 국내증시는 Fed 금리인하 기대감이 선 반영되고 세제 개편안 재검토 기대감이 나오면서 KOSPI 3,147.75(+0.91%), KOSDAQ 784.06(+1.46%)으로 상승 마감했다.
코스피 투자주체 일자별추이 대금 [출처 신한아이HTS]
8월 1일 증시가 급락하며 외국인 매도력이 나왔지만 다음 날 부터 바로 순매수로 이어지며 증시 반등을 만들어가는 모습이다. 2일 연속 강한 순매도를 보였던 기관도 소폭 순매수 기조에 동참하며 잠시 쉬어가는 모습이나 증시가 많이 올라온 만큼 수급의 추이를 잘 지켜보며 대응하는 것이 좋아 보인다.
코스피 코스닥 일봉차트 [출처 신한아이HTS] 왼쪽 코스피 / 오른쪽 코스닥
기술적으로 코스피는 2일 연속 조정을 받고 소폭 반등을 하는 모습이나 다시 20선일 위로 안정적으로 올라타는지 지켜보며 대응 해야 할 것으로 보여지고 코스닥도 강하게 급락한 만큼 반등을 주며 784선의 저항을 받았으나 금일 이 구간을 돌파하며 다시 806선 위로 올라타는지 추이를 지켜 볼 필요가 있다. 만약 양 지수가 20선 위로 올라타지 못하면 재차 조정을 받을 수 있는 여력도 있기 때문에 반등은 단기적으로 취하는 것이 유리해 보인다.
일단 반등 기조는 단기적을 나올 모습이기 때문에 일부 차익 실현을 통현 현금 확보가 좋다고 판단되고 다시 안정적 상승 기조가 나오게 된다면 서서히 투자금을 늘려나가는 것도 좋아 보인다. 단기 상승력이 이어지는 만큼 많은 상승 이슈도 나올 모습인데 이전 상승 이슈를 참고해 가면서 잘 대응해 보자. 전일 상승 이슈는 아래와 같다.
▷국제 플라스틱 협약 앞두고 탈 플라스틱(친환경/생분해성 등) 테마 상승.
▷토큰증권(STO) 법제화 기대감 등에 STO(토큰증권 발행)/ NFT(대체불가토큰) 테마 상승.
▷케이팝 데몬 헌터스 흥행 효과 지속 및 관세 피해 제한 분석 등에 음원/음반/ 엔터테인먼트/ 영상콘텐츠 테마 상승.
▷롯데관광개발 7월 카지노 매출, 드롭액, 이용객 수 사상 최대치 등에 카지노 테마 상승.
▷美 고용지표 쇼크에 따른 금리 인하 기대감 등에 제약업체, 바이오시밀러, mRNA(메신저 리보핵산), 유전자 치료제/분석, 비만치료제, 면역항암제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상승.
▷엔비디아, 로봇 파지 관련 인공지능 프레임워크 공개 소식 등에 로봇(산업용/협동로봇 등) 테마 상승.
▷갤럭시Z폴드7 美 흥행 소식 등에 폴더블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갤럭시 부품주 등 테마 상승.
▷금융 업종 내 가장 매력적인 밸류에이션 보유 분석 등에 은행 테마 상승.
▷삼성전기, 테슬라 휴머노이드 로봇에 카메라 모듈 공급 소식 등에 카메라모듈/부품 테마 상승.
▷북미 정상회담 가능성에 따른 북중 경제교류 회복세 소식 등에 남북경협 테마 상승.
▷정부, ‘국가대표 AI’ 5개 정예팀 선정 소식에 지능형로봇/인공지능(AI)/ AI 챗봇(챗GPT 등) 테마 상승.
▷마스가(MASGA) 프로젝트 수혜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조선, 조선기자재 테마 상승.
8/4(월) 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는 아이로보틱스가 139.99억원 규모 3자배정 유상증자 결정 등에 상한가. 핌스, 뉴파워프라즈마 등 일부 OLED, 케이프, 화인베스틸 등 일부 조선기자재 테마가 상승. 뷰웍스는 2분기 호실적에 정규장 상승에 이어 시간외 소폭 상승. 반면, 캠시스, 포톤 등 일부 카메라모듈/부품 테마는 하락. 거래량 상위 종목으로는 좋은사람들, 캠시스, 동양철관, 엔케이, 삼기에너지솔루션즈 등.
8/4(월) 대체거래소(NXT) 애프터마켓에서는 SK가스가2분기 호실적을 발표하며 급등했고 HJ중공업이 韓美 마스가(MASGA) 프로젝트에 따른 수혜 기대감으로 상승력을 이어갔다. 피아이이는 460억 전환사채 발행 결정 소식이 들여오며 상승했다. 그린리소스는 1:1 무상 증자 결정에 정규장에 이어 상승력을 이어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