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박정식의 국내 주식시황] 美 상호 관세 유예 기간이 임박함에 따른 큰 방향 없는 장세가 이어질 모습
작성자 : 박정식작성일 : 2025-07-01조회수 : 758
[2025년 7월 1일 장전 국내시황]
오는 7월8일까지인 미국 상호관세 유예 만료 이전에 미국과 주요 교역국의 무역 협상이 진전을 보일 것이란 기대감이 이어지며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관세 정책 불확실성에 따른 리스크가 추후에 발생한다면 단기적으로 급락 할 가능성도 키우고 있다. 일단 캐나다가 디지털세 부과 계획을 철회하며 다시 무역협상을 진행하면서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모습이다.
전일(6/30) 국내증시는 美 관세 정책 불확실성으로 4영업일 연속 외국인 차익 매물이 나오고 있지만 상법 개정한 통과 기대감과 새정부 기대감이 지속되며 KOSPI 3,071.70(+0.52%), KOSDAQ 781.50(-0.01%)으로 혼조 마감했다. 금일도 캐나다가 미국과 무역협상을 재개하며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소폭 상승 내지는 혼보 국면을 보일 것으로 판단한다.
코스피 투자주체 일자별추이 대금 [출처 신한아이HTS]
코스피 투자주체 수급을 보면 외국인이 4거래일 연속 순매도를 하면서 단기 하락 가능성을 키우고 있는 상황이다. 아직까지는 기관의 순매수로 잘 버티고 있기는 하지만 미국과 관세협상이 잘 되지 않을 경우에는 단기 급락 조정도 염두해야 되는 상황이다.
코스피 코스닥 일봉차트 [출처 신한아이HTS] 왼쪽 코스피 / 오른쪽 코스닥
기술적으로 코스피는 2929선 부근까지, 코스닥은 773선 부근까지 조정을 이어갈 가능성이 존재 한다. 하지만 미국의 관세 협상 이슈가 꾸준히 나오며 그에 따른 기대감이 증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바로 내려가기 보다는 어느정도 버텨주면서 때를 기다리지 않을까 생각한다.
만약 관세 협상이 모두다 잘되고 상호관세가 주요국들에게 적용되지 않는다면 증시는 이대로 상승 흐름을 이어갈 수 있으나, 그건 어디까지 결과만 놓고 본 것이고 향후 정세가 어떻게 흘러갈지 지속 체크하며 투자에 임 할 수 밖에 없는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슈에 따른 일부 테마군들은 빠른 시세 흐름을 단기적으로 만들어 가고 있다. 전일 상승 이슈는 아래와같다.
▷美, 알래스카 LNG 한국 참여 희망 소식 등에 조선/ 조선기자재, 철강 중소형, 강관업체(Steel pipe), 피팅(관이음쇠)/밸브, 자원개발 등 알래스카 LNG 관련 테마 상승.
▷글로벌 전력기기 수요 증가 기대감 등에 전선/ 전력설비 테마 상승.
▷K뷰티 인기 속 올해 韓 화장품 수출액, 美 수출 역전 소식 등에 화장품 테마 상승. 미용기기, 보톡스 테마 등도 상승.
▷더불어민주당, 이번주 상법 개정안 처리 예고 속 지주사 테마 상승.
▷네이버웹툰, 프랑스 고속열차에 콘텐츠 제공 소식 속 웹툰 테마 상승.
▷서울 올해 첫 폭염주의보, 경기도 폭염경보 확대 소식 등에 여름 테마 상승.
▷트럼프 美 대통령, 북한과 갈등 해결 발언 등에 일부 남북경협 테마 상승.
▷SK이노베이션(+25.15%)이 3분기 수익성 개선 기대감 및 메리츠증권, SK온 자금 지원 추진 소식 등에 급등한 가운데, 2차전지, 정유 등 테마 상승.
▷김정관 두산에너빌리티(+3.95%) 사장,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지명 소식 속 일부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국정기획위, 인구TF 출범 기대감 지속 등에 출산장려정책, 엔젤산업, 캐릭터상품 등 테마 상승.
6/30(월) 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는 브릿지바이오테라퓨틱스가 Parataxis Korea Fund I LLC 외 1인으로 최대주주 변경 공시 속 상한가를 기록했고, 에이비온 1.8조원 규모 단백질 표적 항체 ABN501 기술이전 계약 모멘텀 지속에 에이비온, 텔콘RF제약, 케이피엠테크 등이 상승했다. 반면, 한국은행, 프로젝트 한강 CBDC 잠정 중단 소식 등에 정규장 하락했던 미투온, LG씨엔에스 등 일부 스테이블코인 관련주들이 시간외 거래에서도 하락했다. 거래량 상위 종목으로는 시지메드텍, 우리기술, 에이비온, 휴림로봇, 위즈코프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