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박정식의 국내 주식시황] 시장 급격한 상승에 단기 저항에 따른 조정 가능성 존재, 美 상호관세 유예기간도 임박
작성자 : 박정식작성일 : 2025-06-26조회수 : 1,558
[2025년 6월 26일 장전 국내시황]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이날 네덜란드 헤이그에서 열린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정상회의 후 기자회견에서 "다음 주 이란과 대화할 것"이라며, 이스라엘의 대이란 공격으로 중단됐던 미국과 이란 간 비핵화 협상을 재개할 뜻을 내비쳤다
제롬 파월 연장준비제도(Fed)의장은 미국 의회 상원에서 반기 통화정책 보고에서 관세가 경제에 미치는 여파를 예측하기가 매우 어렵다며 "기다리기에 적절한 위치를 유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국의 상호관세 유예 기간이 끝나는 7월8일이 2주 앞으로 다가오면서 신규 무역 협상 타결 및 유예 기간 연장 여부에 대한 관심이 커지는 모습이다.
이러한 영향에도 국내증시는 새정부 기대감이 지속이어지고 있고 이재명 정부의 정책 및 경기부양 기대감이 이어지고 있다. 전일(6/25) 국내증시는 KOSPI 3,108.25(+0.15%), KOSDAQ 798.21(-0.34%)으로 혼조 마감했으나 상승 기조는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코스피 투자주체 일자별추이 대금 [출처 신한아이HTS]
외국인은 최근 들어 지속적인 순매수를 보여주지 않고 매수, 매도를 번복하고 있다. 기관도 비슷한 흐름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최근 지수 상승의 단기 고점이 근접한 것이 아닌가 생각해 본다. 만약 외국인이 3일 연속 순매도에 나서게 된다면 단기 고점으로 인식하고 대응하는 것이 좋다고 판단된다.
코스피 코스닥 일봉차트 [출처 신한아이HTS] 왼쪽 코스피 / 오른쪽 코스닥
기술적으로 코스피 지수는 거의 이전 고점까지 올라오며 다음 저항 3180선을 앞두고 있다. 코스닥은 808선 저항에 거의 근접해 가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 중요한 라인을 돌파 성공할지귀추가 주목된다. 최근 미국 시장에서는 증시 상승 모멘텀 부족으로 고점 횡보 국면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악재가 조금만 나오더라도 하락을 이끌어 갈수도 있어 보인다.
하지만 아직은 시장 상승 기조가 이어지고 있기 때문에 많은 상승 이슈가 돌고 돌거나 새롭게 나오고 있다. 전일 상승 이슈는 아래와 같다.
▷중동 재건 기대감 지속 및 원전 사업 기대감 등에 건설 대표주 테마 상승.
▷현대차그룹, 영국 판매 돌풍 및 한미 고위급 관세협의 기대감 등에 자동차 대표주/부품 테마 상승.
▷경기 부양 및 증시 체력 제고에 따른 단기 프리미엄 부여 가능 분석 등에 은행 테마 상승.
▷마이크론 테크놀로지(+4.78%) 호실적 기대감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시스템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이재명 정부 북극항로 정책, 해수부 이전 기대감 속 종합 물류 테마 상승.
▷美 상원, 주택용 태양광 세제 혜택 부활 검토 소식 등에 태양광에너지 테마 상승.
▷예탁결제원, 토큰증권 테스트베드 플랫폼 구축 소식 속 일부 STO(토큰증권 발행) 테마 상승.
▷밸류에이션 디스카운트 해소 기대감 지속 등에 일부 지주사 테마 상승. 증권, 생명보험, 손해보험 등 테마도 상승.
▷정동영 의원, 이재명 정부 통일부 장관 후보자 지명 속 남북 관계 개선 기대감 지속 등에 남북경협, 일부 비료, DMZ 평화공원 등 테마 상승.
▷국제유가 급락 속 일부 항공/저가 항공사(LCC) 테마 상승.
6/25(수) 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는 이재명 대통령 "사법고시 부활 개인적 공감" 발언 등에 윌비스가 상한가를 보였다. 대창솔루션은 53.09억원(최근 매출액대비 8.65%) 규모 원자력 핵 폐기물 저장장치(RWC) 공급계약 체결 등에 정규장에 이어 시간외에서도 상승했다. 카카오페이, 뱅크웨어글로벌 등이 상승, 케이옥션, 핑거, 넥써쓰, 갤럭시아에스엠 등이 하락하는 등 스테이블코인/STO 등 테마는 등락이 엇갈리는 모습이다. 거래량 상위 종목으로는 이스트아시아홀딩스, 폴라리스세원, 에코플라스틱, 동방, 롯데손해보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