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목 : [박정식의 국내 주식시황] 트럼프 관세 정책 불확실성 속.. Fed 금리 결정 앞두고 경계감에 따른 혼조 국면 가능성
작성자 : 박정식작성일 : 2025-05-07조회수 : 846
[2025년 5월 7일 장전 국내시황]
트럼프 대통령이 이르면 이날 중 무역협상 합의와 관련해 발표할 것이란 기대와 달리 트럼프 대통령이 별다른 협상 진전 상황을 발표하지 않으면서 관세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있고 FOMC 정례회의를 앞두고 있는 상황이라 경계심리가 크게 작용되는 상황이다.
전 영업일(5/2) 국내증시는 미국의 무역협상 기대감이 지속되며 KOSPI 2,559.79(+0.12%), KOSDAQ 721.86(+0.64%)으로 소폭 상승 마감했다. 하지만 금일 증시 흐름에서는 미국의 관세 정책 불확실성이 다시 불거지며 소폭 약세 및 혼조 국면을 보일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투자주체 일자별추이 대금 [출처 신한아이HTS]
코스피 투자주체 흐름을 보면 외국인 순매도 기조는 지속되는 가운데 기관의 순매수 흐름은 계속 이어지고 있다. 이러한 기관의 순매수 덕분에 국내증시는 상대적으로 양호한 흐름을 보이고 있지만 강하게 증시가 나아가기에는 역부족이기 때문에 현 국면에서의 등락은 지속 될 것으로 보인다.
코스피 코스닥 일봉차트 [출처 신한아이HTS] 왼쪽 코스피 / 오른쪽 코스닥
기술적으로 보면 코스피는 2565선을 쉽게 넘어서지 못하고 저항을 받는 모습으로 이대로 돌파하는 흐름이 나오지 못할 시 2513선의 지지 여력을 확인하러 소폭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코스닥도 726선의 저항을 받는 모습으로 이대로 돌파 하지 못할시 709선의 지지 여력을 확인하러 조정을 받을 가능성이 있다.
혹여 시장이 조정을 받을 경우 코스피 2470, 코스닥 692선은 강한 지지 라인이 될 것으로 보인다. 아직까지 트럼프의 관세 정책에 대한 불확실성이 존재하고 그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도 나오고 있는 상황이라 증시가 강하게 상승하기에는 어려운 국면이라 판단된다. 따라서 1~3개월 단위로 증시의 등락이 거듭될 것으로 보여지기 때문에 상승 이슈에 따른 개별주 단기 공략이 아직까지는 유효하다고 보고 있다. 전일 상승 이슈는 아래와 같다.
▷4월 화장품 수출 호조 및 한한령 해제 기대감 지속 등에 화장품/ 일부 면세점 테마 상승.
▷한화 방산3사, 칠레 방산 전시회 참가 속 남미 시장 개척 기대감 등에 방위산업/전쟁 및 테러 테마 상승.
▷MS·메타 실적 호조에 따른 AI 기대감 및 반도체 4월 수출 호조 등에 반도체 대표주(생산), 반도체 재료/부품/장비, 시스템반도체, HBM(고대역폭메모리) 등 반도체 관련 테마 상승.
▷한수원, 체코 원전 수주 확정 소식에 일부 원자력발전 테마 상승.
▷지난해 대형 변압기 수출액 1조원 돌파 및 MS·메타 실적 호조에 따른 AI 기대감 등에 일부 전선/ 전력설비 테마 상승. 냉각시스템(액침냉각 등) 테마도 상승.
▷정부, SK텔레콤에 신규 이동통신 가입자 모집 전면 중단 행정 지도 등에 일부 유심(USIM)/ 보안주(정보) 등 테마 상승.
▷비만치료제, 모더나, 화이자, 보톡스, mRNA(메신저 리보핵산), 줄기세포, 바이오시밀러, 제약업체 등 제약/바이오 관련 테마 상승.
▷SK텔레콤 신규 가입 중단에 따른 반사이익 기대감 등에 통신 테마 상승.
5/2(금) 장 마감 후 시간외 거래에서는 이재명 선거법 파기환송심 5월15일 기일 지정 속 넥스트아이, 평화산업, 평화홀딩스, 윌비스 등 정치/인맥(이준석, 김문수) 테마가 상승했다. 에르코스, 원티드랩, 꿈비, 제로투세븐 등 출산 및 취업 등 일부 대선 정책 관련 테마도 상승했다. 반면, 일정실업, 태양금속, 디티앤씨알오, 아이스크림에듀, 태영건설, 시공테크 등 정치/인맥(한덕수, 한동훈) 등 테마는 하락했다. 거래량 상위 종목으로는 형지I&C, 포메탈, 넥스트아이, 대한제당, 큐라티스, 태양금속 등이 있다.